2013년 12월 13일 금요일

실용 의학편 5. 귀와 이염 -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


특별히 귀와 원수 진 일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귀에 대해 이런 저런 말들을 한다. 남의 말을 너무 잘 듣는 사람을 귀가 여리다고 하고, 생일이 되면 귀 빠진 날이라고 한다. 선생님이 제자를 벌 주려고 끌고 갈 때 귀를 잡고 가는 모습은 학창 시절의 그리운 풍경으로 우리 마음 속에 남아 있다.

귀는 해부학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 구박의 대상인 가장 바깥쪽에 있는 외이(), 가운데 부분인 중이, 그리고 감각 신경부분에 해당하는 내이가 그것이다. 이 귀에 염증이 생긴 것을 “이염”이라고 하며, 크게 외이염과 중이염으로 분류한다. 외이염과 중이염은 각각 급성 이염과 만성 이염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한편 원인에 따라서 박테리아, 곰팡이균,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감염 염증과 그렇지 않은 비감염 염증으로 구분한다.

먼저 외이염을 살펴보면 주로 습하고 더운 기간에 일어나고, 통증과 분비물을 수반하며, 대부분은 약물로 염증 부분을 국소 치료하면 된다. 면봉을 사용하거나 수영을 하는 사람, 알레르기 체질이 있는 사람은 외이염에 더 잘 걸릴 수 있고, 중이염으로 인해 고막이 파괴 되고 분비물이 흘러 나오는 경우에도 외이염이 생길 수 있다. 당뇨병을 비롯하여 면역성이 약하여진 환자의 경우에는 곰팡이 균 등 특이 병균으로 인한 외이염이 걸릴 수도 있음으로 전문의의 확진을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는 약물로 적절한 원인 치료를 할 수 있다.

중이염은 중이강 내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하는 것으로 외이염보다 증세와 원인이 더 다양하다. 비감염 염증의 대표적인 예로 기압 중이염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비행이나 수중 다이빙으로 인한 고도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통증과 난청, 자가 강청 (귀내에서 소리가 들림) 등의 증상을 수반하며, 간단한 약물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더 흔한 중이염은 감염 염증인 화농성 중이염으로, 주로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나타난다. 구조적으로 중이(귀의 고막 안쪽)의 모양이 기형이거나, 면역성이 약화된 경우, 당뇨병 환자 등은 중이염에 감염될 확률이 더 높다. 특히 소아의 경우에는 그 발병 횟수가 더욱 빈번하며, 증상도 더 심하다. 비염, 후두염, 편도선염, 부비동염 (축농증sinusitis), 심지어는 골수염 등은 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 원인이 된다. 중이염은 일반적으로 완전하게 치료가 되지만, 때로는 뼈나 뇌 부분으로 염증이 옳겨갈 수 있음으로, 적절한 때에 올바르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이염의 증상을 살펴보면 발열, 이통, 난청, 분비물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소아의 경우 식욕 부진, 구토 등의 증상을 수반할 수도 있다. 열은 갑자기 오르는데, 어른의 경우보다 소아의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 이통은 매우 심한 통증으로서 규칙적으로 반복되며, 고막이 터지면 사라진다. 난청은 귀가 잘 안 들리게 되는 것을 말하며, 때로는 자가 강청을 동반할 수도 있다. 분비물은 고막이 터진 경우에만 나타나는 증상이다. 급성중이염이나 만성중이염의 악화로 골성 내이를 압박, 파괴하는 경우에 그 부분에서 세균이 내부로 침입, 염증을 일으켜 드물게는 뇌막염이 청신경이나 전정도수관을 통해 내이감염을 일으키는 예도 있다. 중이염에서 내이의 극히 일부가 서서히 침해될 경우에는 아무런 증세가 나타나지 않을 때도 있지만, 어느 정도 진행되면 현기증 ·귀울음 ·구토증 ·난청 등의 증세가 생기고, 심하면 완전히 귀머거리가 될 수도 있다. 더 증세가 악화되면 뇌막염이나 뇌농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중이염의 치료는 통증을 없이하고, 염증을 퇴치하는 데 중점을 두며, 따라서 항생제와 진통제를 복용한다. 그러나 병이 많이 진전 된 경우 필요에 따라서 수술을 요할 수도 있다.
생각해보면 정말 사람 볼 줄 아는 사람은 귀를 통해 관상을 보기보다는 그 귀의 사용 방법에 따라 그 사람의 지혜로움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귀를 잘 이용해서 충고와 조언을 적절히 잘 들으면 지혜로운 자요, 들을 말을 듣지 아니하면 미련한자라고 하나님은 수 차례에 걸쳐서 말씀하신다.

만일 우리의 영도 귀를 가지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물론 “그렇다”이다. 우리의 귀는 하나님의 말씀, 책망, 아비의 훈계, 하나님의 명령, 교훈 등을 듣도록 되어있다. 새 신자의 경우는 기압 중이염에 걸린 사람처럼 처음 듣는 복음이 생소하여 통증을 수반하고 염증이 생길 수 있으나 곧 익숙해질 수 있다. 갑자기 구원을 받고 세상과는 다른 고도의 수준의 말씀을 들으니 좋기도 하고, 처음에는 어색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왠지 늘 듣던 말씀인데도 껄끄럽고, 귀에 거슬린다고 생각이 되면 이염, 특히 중이염이 아닌가 의심해보아야 한다. 증상은 위에 열거한 바와 같이 열이 나서 흥분이 되기도 하고, 아프며, 들어야 할 말이 잘 들리지 않고, 때로는 더러운 생각이 밖으로 흘러나오기도 하는 것이다. 소아의 경우처럼, 영적 소아인 새 신자는 상처받기 시작하면 그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주의하여 기도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염증은 속히 치료하고 오래 두지 않아야 한다. 성경은 영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듣기를 거부하는 자에 대해서 “...들을 귀가 있어도 듣지 아니하는 패역한 족속...( 12:2)”이며, ...청종하기를 싫어하여 등으로 향하며, 듣지 아니하려고 귀를 막으며( 7:11),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한 이야기를 좇게 된다(딤후 4:4)”고 말하고 있다.

더욱이 하나님은 우리에게만 들으라고 강요하시지 않고, 우리처럼 친히 이 귀를 가지시기로 결정하셨다. 그래서 하나님도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계신다. “부르짖으라, 응답하겠고...( 33:3). 듣고 싶으니 말 좀 하라고 늘 우리에게 귀를 열어놓고 계신다. 하나님도 듣기를 즐겨하시고 좋아하시니, 듣는다는 것은 참으로 좋은 일임에 확실하다. 우리는 이 좋은 귀가 허탄한 유혹에 빠져 버리는  “귀가 여린 사람”이 되지 말고, 귀를 지혜롭게 다스려 오직 <네 귀를 지혜에 기울이는 (2:2)> 사람들이 다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